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.
‘사랑, 행복, 나눔’의 비전으로 서로서로 건강한 행복공동체를 만들어, 사랑과 나눔을 실천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.
제목 | 겨울철 한파시 행동요령 | ||||
---|---|---|---|---|---|
부서명 | 재난안전관리과 | 등록일 | 2007-11-06 | 조회 | 2108 |
첨부 | |||||
겨울철 건강관리 손가락, 발가락, 귓바퀴, 코끝 등 신체 말단부위의 감각이 없거나 창백해지는 경우에는 동상을 조심해야 함 심한한기, 기억상실, 방향감각 상실, 불분명한 발음, 심한 피로 등을 느낄 경우에는 저체온증세를 의심하고 바로 병원으로 가야함 급작스런 기온 강하시 심장 및 혈관계통, 호흡기 계통, 신경계통, 피부병 등은 급격히 악화될 우려가 있으므로 유아, 노인 또는 병자가 있는 가정에서는 난방에 유의해야 함 혈압이 높거나 심장이 약한 사람은 노출부위의 보온에 유의하고 특히 머리부분의 보온에 신경 써야함 외출 후 손발을 씻고 과도한 음주나 무리한 일로 피로가 누적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, 당뇨환자, 만성폐질환자 등은 반드시 독감 예방접종을 실시하여야 함 동상에 걸렸을 때는 꼭 죄는 신발이나 옷을 벗고 따뜻하게 해주며 동상부위를 잘 씻고 말려야 함 겨울운동 주의사항 운동전 충분한 스트레칭을 실시하여 관절의 가동(稼動) 범위를 넓힘으로써 부상을 방지하여야 함 준비운동 강도는 몸에서 약간 땀이 날 정도가 적당하며 실내에서 실시하여야 함 운동은 가능한 실내에서 하는 게 부상위험을 줄일 수 있음 옷을 겹쳐 입되 많이 입지 말아야 함 고혈압 등 만성병 환자는 오후 실내에서 운동하는 게 좋음 겨울엔 체온 유지를 위해 10~15%의 에너지가 더 소비되므로 운동 강도를 평소의 70~80% 수준으로 낮추는 게 좋음 술은 이뇨(利尿)·발한(發汗) 작용으로 체온을 떨어뜨리므로 등산·스키 등 운동 중에는 술 마시지 말 것 운동 후에는 따뜻한 물로 목욕하고 옷을 갈아입는 등 충분히 보온을 실시하여 감기를 예방하여야 함 수도계량기 및 관 보온 수도계량기의 보온을 위해서 보호함 내부는 헌옷을 채우고, 외부는 테이프로 밀폐시켜 찬 공기가 스며들지 않도록 하여야 함 복도식 아파트는 수도계량기 동파가 많이 발생하므로 수도계량기 보온에 유의하여야 함 장기간 집을 비우게 될 경우에는 수도꼭지를 조금 열어 물이 흐르도록 하여 동파를 방지하여야 함 마당 및 화장실 등의 노출된 수도관은 보온재로 감싸서 보온 실시 수도관이 얼었을 때는 헤어 드라이 등으로 서서히 가열하여 녹이거나, 미지근한 물로 녹임 보일러 배관 보온 보일러 밑의 노출된 배관은 헌 옷 등으로 감싸서 보온 장기간 외출 시에는 온수를 약하게 틀어 한 방울씩 흐르게 하여 동파를 방지하여야 함 관이 얼었을 경우에는 따뜻한 물이나 온열기(헤어드라이어 등)를 이용하여 서서히 녹여야 함 |
이전 | |
---|---|
다음 |